본문 바로가기
경제학-문제풀이

매경TEST 경제학 문제풀이 20220518

by 꽁치가천원 2022. 5. 19.
728x90

1. 아래는 영화관에서 매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연령에 따른 가격 차별 전략을 시행한 결과이다. 다음 중 연령별 수요의 가격탄력성(Ed)을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구분 20세미만 20~39세 40세 이상
가격 변화율 -10% 10% 10%
판매수입 변화율 5% -5% -10%

       20세미만           20~39세           40세 이상

①      Ed<1               Ed=1               Ed>1

②      Ed<1               Ed<1               Ed=1

③      Ed=1               Ed<1               Ed<1

④      Ed>1               Ed>1               Ed>1

⑤      Ed>1               Ed>1               Ed=1

-> Ed>1 탄력적, Ed<1 비탄력적으로 가격변화에 판매수입이 탄력적으로 반응하는가, 비탄력적으로 반응하는가를 나타내는 공식이다.

그래프로 그리면 위와 같은 모습이 되는데 해당 선은 비탄력적이다. 1보다 작기 때문. 이는 기울기가 가파를수록 비탄력적인 것을 의미, 반대로 평탄할 수록 탄력적이다.

20세 미만은 가격이 10% 하락하게 되면 판매수입이 5% 증가하기 때문에 판매량은 15% 증가한 것이 된다. 가격에 따라 판매량이 15%만큼 변화한 것이기 때문에 Ed = 1.5이다.

20~39세는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판매수입이 5% 감소했다. 이는 가격에 1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으로 탄력적이다.

40세 이상은 10% 가격이 상승했을 때, 판매 수량이 20% 감소하여야 판매수입이 10%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Ed=2가 된다.

정답 : ④

 

2. 아래 그림은 경기 불황에 대한 케인스식 처방의 효과를 도식화한 것이다. 다음 중 그림의 빈칸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                   ㉡                   ㉢

①      감소                상승               감소

②      감소                하락               감소

③      증가                상승               증가

④      증가                하락               증가

⑤      증가                상승               감소

 

-> 정부지출이 증가하면 민간소비의 연쇄적 증가로 이어지는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를 가지게 된다. 이때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시중금리가 상승해 소비가 위축되는 현상을 구축효과라 한다.

정답 : ⑤

 

3. 다음 중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수단인 공개시장운영(open market operation)에 대한 올바른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수단이다.

② 총수요를 증가시키려면 중앙은행은 국공채를 매입해야 한다.

③ 본원통화의 양을 조절하여 통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다.

④ 중앙은행의 국공채 매각은 시장금리 수준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⑤ 화폐 보유 동기가 이자율에 민감할수록 공개시장운영이 시장금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 공개시장운영은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주된 통화정책 수단으로 국공채 시장에서 국공채를 매입 또는 매각하여 통화량 및 시장금리 수준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화폐 보유 동기가 이자율에 민감해 화폐 수요 함수가 수평에 가까워질수록 화폐 공급 변화에 따른 이자율의 변화가 작다. 따라서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변화시켜도 시장금리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정답: ⑤

 

4. 다음 지문에서와 같은 사례가 발생했을 때 효율성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역할로 가장 올바른 것은?

 

농업용수를 이용해 농사를 짓고, 농산물을 가공해서 판매하는 한 공장이 있다. 그러나 최근 강의 상류에 염색공장이 이전해 오면서 농산물 공장이 피해를 보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회적 순손실이 발생하게 됐다.

① 농산물 공장에 보조금을 지급한다.

② 농산물 공장을 매입해 공기업화한다.

③ 염색공장에 사회적 비용을 부담하게 한다.

④ 염색공장이 생산 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규제한다.

⑤ 정부 개입은 비효율을 초래하기 때문에 개입을 하지 않는다.

 

-> 부정적 외부효과의 예이다. 피구세나 코우즈 해법 등 내부화하는 것이 해법이다. 따라서 부정적 외부효과는 피구세가 타당하다.

정답 : ③

 

5. 아래 그림은 물가와 금리의 변화가 원화 가치 하락에 미치는 효과를 도식화한 것이다. 다음 중 빈칸 ㉠㉡㉢에 들어갈 내용을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                   ㉡                   ㉢

①      상승                감소               유입

②      상승                증가               유출

③      상승                감소               유출

④      하락                증가               유출

⑤      하락                감소               유입

 

-> 결과인 원화 가치하락부터 접근해보자. 원화 가치가 하락했다는건 원화 대비 달러가 비교적 적다는 뜻이다. -> 달러 공급이 적다는 뜻. 그럼 ㉡은 감소.

달러가 적다는 건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수입이 적다는 뜻. 즉 순수출 감소이다. 순수출 감소는 비싸니까 감소가 되는거다. 그럼 수출물가 상승. 국내 물가가 비싸서 수출 물가가 오르는거다.

다음으로 외국 금리가 상승했다. 이 뜻은 국내의 외국인 자본이 해외로 빠져나간다는 뜻이다. 차익거래를 위해서.. 그래서 유출이다.

정답 : ③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