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래 나열한 내용이 설명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 외화 유동성 확충 ▲ 상대국 통화 교환 ▲ 2020년 미국과 600억 달러 체결 |
① 통화동맹
② 외환포지션
③ 통화스와프
④ 외환보유고
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통화스와프는 미리 약정된 환율에 따라 특정된 시점에 상호 교환하는 외환거래이다. 기업은 물론 국가도 환율과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분산하거나 외화 유동성 확충을 위해 사용된다.
외환포지션은 외국환은행이 외환거래를 통해 매입한 외환매입액과 매도액의 차액을 말한다. 즉 일정시점에서 이환자산과 부채의 차액을 외환포지션이라 한다. 통화동맹은 다수의 국가가 일정의 통화를 공통의 법정통화로 할 것에 합의하고 통화금융정책에 대해서도 어더한 협력관게를 수립한 것을 의미하며, 치앙마이 이니셔티브는 한중일+동남아국가연함 ASEAN이 외환위기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2000년 5월에 체결한 역내 자금지원제도를 의미한다.
정답 : ③
2. 그림은 A국 ㅇㅇ경제연구소의 보고서 일부다. (가)에 들어갈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A국은 변동환율제에 따라 환율조정 됨)
① A국의 수출 증가
② 외국인의 A국 투자 증가
③ 대규모 외채 상환 만기 도래
④ A국으로 유학 오는 외국인 학생 증가
⑤ 다른 나라의 평균보다 빠른 경제 성장으로 A국 국내총생산(GDP) 증가
-> 환율이 증가했다는 것은 원화가치가 하락했고 달러가 귀해졌다는 말이다.
① 수출이 증가하면 달러가 많아지고 달러 가치가 하락한다. 고로 환율이 하락한다.
② 외국인 투자 자본이 증가하면 달러가 많아지는 것이고 환율이 하락한다.
③ 외채 상환은 달러로 갚아야 함을 의미하고 달러가 유출되니 달러가 귀해진다
④ 유학생이 한국 오려면 원화를 사야 한다. 달러를 원화로 바꾸니 달러가 흔해지고 원화가 귀해진다.
⑤ 빠른 경제 성장으로 GDP가 성장한 것이니 수출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고로 환율 하락.
정답 : ③
3. 아래 나열한 지표들이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 BIS 자기자본비율 ▲ RBC 비율 ▲ NCR 비율 |
① 유동성
② 건전성
③ 생산성
④ 효율성
⑤ 수익성
-> BIS 자기자본비율이란 국제결제은행(BIS)이 정하는 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이다. 국제적인 은행 시스템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은행 간 경쟁 조건상의 형평을 기하기 위해 국제결제은행의 은행감독규제위원회(바젤위원회)에서 정한 기준이다.
RBC비율은 은행의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처럼 보험계약자가 일시에 보험금을 요청했을 때 보험사가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한 것이다. 보험회사의 자본 건전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다.
NCR 비율은 영업용순자본비율이라고도 한다. 증권회사와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부담하고 있는 위험의 규모가 보유 중인 증권사의 유동성에 비춰 적합한지를 판다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으로 나눠 백분율로 표신하다. NCR이 높을수록 자본 건전성이 양호하다는 뜻이다.
① 유동성 -> 유동비율, 당좌비율 등 단기 유동을 나타낸다. 단기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지 나타냄.
⑤ 수익성 -> ROA, ROE 등이 있으며 뭐뭐 분에 수익이 얼마인지를 나타냄.
정답: ②
4. 공동목초지와 같이 소유권이 분명하지 않은 재화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① 기회비용
② 가변비용
③ 피터팬 증후군
④ 쿠즈네츠 곡선
⑤ 공유지의 비극
-> 공유지의 비극이란 경합성은 있으나 배제성이 없는 공유 자원의 주인이 없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사용하여 자원이 고갈되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 : ⑤
5. 정부나 중앙은행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실시하면 예상되는 효과는?
▲ 중앙은행이 국공채를 매각한다. ▲ 중앙은행이 지급 준비율을 올린다. ▲ 정부는 기업과 가계에 대한 세율을 인상한다. |
① 소비가 증가한디.
② 통화량이 증가한다.
③ 인플레이션이 심화한다.
④ 부동산 거래가 증가한다.
⑤ 기업의 투자 의지가 감소한다.
-> 긴축 재정 그리고 긴축 통화정책에 대한 설명이다. 또한, 세율을 인상하면 소비가 감소하고 기업 투자가 감소한다.
정답 : ⑤
'경제학-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05 한경TESAT 경제학 문제풀이 (0) | 2022.08.05 |
---|---|
한경TESAT 경제학 문제풀이 20220704 (0) | 2022.07.04 |
한경TESAT 경제학 문제풀이 20220524 (0) | 2022.05.25 |
매경TEST 경제학 문제풀이 20220518 (0) | 2022.05.19 |
매경TEST 경제학 문제풀이 20220516 (0) | 2022.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