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공공외교란 정부와 민간이 외국 국민의 여론에 영향을 미침으로써(->소프트 파워), 그 나라의 정부 정책을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벌이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외교행위의 대상이 정부 단위에서 개인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비국가 행위자로 확대되었다.
- 미국은 9.11테러를 계기로 하드파워의 한계를 인식하면서 공공외교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되었다.
- 정보화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등장으로 그 중요성이 커졌다.
공공외교법
- 공공외교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대한민국 고유의 특성을 조화롭게 반영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 공공외교 정책은 국제사회와의 지속가능한 우호협력 증진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공공외교법]의 목적은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국가 이미지 및 위상 제고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 [공공외교봅] 제 3조 3항 공공외교 활동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편중되어선 안된다.
소프트 파워
소프트 파워란, 국제 정치에서 한 행위자가 다른 행위자에게 문화적이고 규범적인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그들의 영향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소프트 파워는 군사적 강압이나 경제적 유인책이 아니라 다른 국가들이 자발적으로 따르게 하는 능력이다.
-나이(Nye)-
728x90
'국제정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도적 패권과 패도적 패권 (0) | 2022.12.02 |
---|---|
연방주의와 기능주의 그리고 신기능주의 (0) | 2022.11.09 |
[지정학적 국제정치]헬포드 존 맥킨더의 심장이론 (0) | 2022.11.04 |
국제정치학 이론 - 신고전적 현실주의 (0) | 2022.11.04 |
한국 근현대사 사건 순서 및 주요 정책 (0) | 2022.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