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연방주의
- 전제적인 통치에 대한 견제 가능
- 중앙 정부와 같은 대규모 단위로부터 소규모 단위의 자율성 보장, 이들의 활성화와 조화를 돕고 있다.
- 정치적 낭비 야기
- 국가 통합과 지역적인 형평의 조화의 어려움
ex) 미국, 캐나다, 스위스 등 유고슬라비아와 체코슬로바이카는 연방원리 채택 후 분리된 사례
미트라니(M. Mitrany) 기능주의
- 국가 안보보다 국민복지가 중요
- 국민 복지를 위하여 정치적 영역보단 기술적·기능적 영역에서 문제해결이 더 중요
- 비정치적 분야의 기능적 통합의 우선 추구 강조
- 비정치적 분야의 기능적 통합 과정에서 초국가적 국제기구 등장
- 한 분야의 통합이 다른 분야의 통합을 자동적으로 유발하는 분기 효과 강조
하스(E. Hass)의 신기능주의
통합을 위하여 정치적 결정의 필요성 강조
신기능주의의 3가지 전제
- 행위자의 적극적 개입 필요
- 정치를 다원주의 관점에서 파악 => 지역통합으로 이익을 보는 집단들에 의하여 통합 강화
- 다원주의 시각에서 초국가적 집단의 역할 강조
- 경제적 유대가 긴밀해지면 정치적 조정이 필요해진다(지역화)
- 한 분야에서 통합이 다른 분야로 파급·확산될 것을 기대한다.
기능주의 신기능주의 차이
기능주의 | 신기능주의 |
정치 영역과 비정치 영역 구분 | 정치 영역과 비정치 영역의 구분이 없음 |
통합에 통합을 거듭하는 자동적 분기 효과 강조 | 정치 행위자들의 뜻으로 인한 인위적 파급 중시 |
보편적·세계적 | 지역적 |
728x90
'국제정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주의 - 모겐소(Hans J. Morgenthau) (0) | 2022.12.02 |
---|---|
왕도적 패권과 패도적 패권 (0) | 2022.12.02 |
공공외교와 소프트 파워 (0) | 2022.11.09 |
[지정학적 국제정치]헬포드 존 맥킨더의 심장이론 (0) | 2022.11.04 |
국제정치학 이론 - 신고전적 현실주의 (0) | 2022.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