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SAT-자료해석

2022 7급 PSAT 자료해석 10~15 문제풀이

by 꽁치가천원 2022. 11. 18.
728x90

10번은 보고서의 숫자 먼저 읽고 보기랑 표1을 봤다.

 

11번은 괄호 안을 먼저 채워주고 풀었는데, 소거법으로 배제하다가 틀렸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10~11번 풀이해설

정답 : 4번, 2번

 

10번

 

보고서 숫자를 읽으면서 잘 크로스체킹하면 된다. ㄷ은 표1에 있기 때문에 답이 될 수 없다.

 

사실 소거법으로 했기 때문에 문제를 풀 때 ㄷ 보지도 않았다.

 

11번

 

소거법으로 빨리 푸려다 틀린 문제

 

ㄱ은 2016년 : 96/322 , 2018년 : 90/258이다. 분자가 6% 증가, 분모가 대략 20% 이상이 증가했기 때문에 18년이 더 크다.

 

ㄴ은 전년이월 숫자만 보다가 틀렸다. PSAT이 훈련이 필요한 부분이다. '다음 연도로 이월되는'이다. 스스로 꼼수를 부리려 전년이월로 풀려고 했지만, 틀렸다. 출제자의 의도 파악이 중요하다. 메세지에 주목하자.

따라서 2020년에 이월되는 건수가 100이 넘는다. 틀린 지문이다.

 

ㄷ. 성가신게 19년 20년 모두 0.25에 가까운 증가율이다. 그래서 정확하게 36, 48이 증가한다. 이렇게 적어보니 다시 출제자의 친절함을 느꼈다. 36으로 인한 증가율은 0.24에 가까운 숫자이다. 반면에 48은 0.24보다 확실히 크다.

체감 난이도

틀렸지만 어려운건 아니다. 내가 잘못한거다.

 

보고서 먼저 보고 필요한 정보를 취사했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12번 풀이해설

정답 : 3번

 

출제자의 친절함에 감사해야 할 문제이다.

 

우선 멸종우려종 중에 고래가 80% 이상이라는데 D를 보면 숫자가 압도적으로 높다. 따라서 D가 고래이다. 1,2번 소거

 

북극곰은 LC 또는 멸종우려종만 있다고 한다. 따라서 B가 북극곰

 

해우류는 DD가 없다고 한다. 따라서 C가 해우류, A가 기각류

체감 난이도

남들 맞추는 건 다 맞추어야 한다. 

 

조건에 공식이 있어 눈에 뛴다.

 

조건을 보고 보고서를 읽었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13번 풀이해설

정답 : 3번

 

"몇 분이더라도 ~ 가장 낮은 대여요금 제공 못해" 몇 분이던 관계없이 요금이 젤 작지 않다는 뜻이다.

 

조금 뇌정지와 난독증이 왔었지만 이해하고 A,D는 가에서 배제했다. 왜냐하면 A는 초반에 무조건 값이 작고 D는 언젠간 값이 작을 게 큼지막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그럼 문제는 B와 C다. 한계비용으로 봤다.

 

A B C
0 250 750
0 -50 -80

B는 5분째 A랑 같아지고 6분째에 B가 젤 저렴해진다. 그런데 C는 A를 따라잡으려면 10분째에 따라잡을 수 있는데, 이때는 이미 B가 제일 저렴할 때이다. C가 B를 따라잡는 시간을 구하려면 다시 B와 C의 한계비용을 따져보아야 하는데, D가 언젠간 따라잡을 것이고 정답은 무조건 있기 때문에 가장 저렴한 타이밍이 있는 B와 가장 저렴한지 모르는 C 언젠간 저렴해질게 분명해보이는 D. 꼼수를 부려 B와 D를 제거해 (가)의 답은 C로 하였다.

 

다음, 처음 5분간 대여료 면제라는건 120x5 = 600이 고정비용에서 면제된다는 뜻과 같다. 그래서 고정비용인 잠금해제료에서 600을 C에서 빼주었다.

 

(나)는 A, C를 배제해주었다. A야 1분일 때 제일 저렴하고, C는 5분 대여료 면제로 제일 저렴한 구간이 반드시 생겼기 때문이다.

 

B가 A를 역전하는 구간은 여전히 6분때이다. 그러나 6분일 때, 이제는 C가 더 저렴해진다. B는 C를 따라잡을 수 없다. 왜냐하면 고정비용 변동비용 모두 C보다 높기 때문이다. D는 언젠간 따라잡는다. 따라서 (나)는 B이다.

 

다음 (다)의 식을 풀어보면 150+120*20-(250+100*20) = 150+2,400-250-2,000 = 2,400 - 2,100 = 300

체감 난이도

"몇 분이더라도 ~ 가장 낮은 대여요금 제공 못해" 몇 분이던 관계없이 요금이 젤 작다는 뜻과 계산 실수가 없다면 한계비용으로 계산을 하면 풀 수 있다. 해설은 장황하나 본질은 간단하다.

 

14번은 보고서 숫자 파악하며 보기를 소거해갔으며

 

15번은 1번 각주를 참고로 보기를 소거했는데, 틀렸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14~15번 풀이해설

정답 : 5번, 4번

 

14번

 

 보고서 숫자를 파악하며 보기를 소거하면 된다. 1번 보기 19.4는 올림으로 하였을 때 23.4를 넘어버린다. 그래서 19.4의 20% 대략 3.8을 19.4에 더하여 보니 23.2 아슬하게 23.4보다 낮다. 드디어 PSAT다운 출제자의 불친절한 문제가 나온듯하다. 그러나 이정도면 친절한 수준이다.

 

3번 보기의 사교육 참여학생에서 45의 50%는 22.5이다. 그러면 5%는 2.25이다. 1%는 0.45이다. 그러면 0.05+0.01=0.06 따라서 6%는 2.65이다. 45에 더해도 48이 되지 못한다.

 

5번 보기는 8250의 절반은 4100, 4400보다 훨씬 작다.

 

15번

 

매년이란 단어를 주의, 메세지에 신경을 써야 한다. 아직 훈련이 안된 증거다. 1번 보고 내뜸 찍고 다음 문제로 넘어갔다. 메세지에 주의를 기울이자.

 

2번 보기는 1번 각주를 변형하여 전체 학교 수 = 여성교장 수 / 여성교장 비율을 활용하여 2020년 : 2,418/40.3 = 6 친절하다. 1980년 : 117/1.8 ->1.8을 2로 올림 117/2는 56.5, 6보다 아늑히 높다. 따라서 1980년대가 더 많다.

 

3번 보기는 여성 교장수가 증가하였는데 비율은 그대로이다. 그러면 당연히 남성 교장 수도 그 비율만큼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4번 보기는 222/3.8 ㅇ 181/7.6+66/3.8 인데 7.6이 3.8*2이다. 따라서 222 > 90.5 + 66. 초등학교 수가 더 많다.

 

5번 보기는  1:5가 좀 안된다. 5배 이하이다.

체감 난이도

메세지에 주목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실수로 틀렸고 계산이 깔끔하긴 하나 제법 시간이 걸리는 문제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