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SAT-자료해석

2022 7급 PSAT 자료해석 21~25 문제풀이

by 꽁치가천원 2022. 11. 25.
728x90

관리회계 전공이라고 생각할 만큼 반가웠던 문제

 

근데 생각보다 관리회계 지식 필요가 없었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21번 풀이해설

정답 : 3번

 

제조원가 = VC(변동원가) + FC(고정원가) 라고 하니까, 1-변동원가율 = 고정원가율이 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A의 고정원가 60,000/FC = 제조원가가 나온다.

 

그렇게 각 제품별 제조원가를 구해준다.

 

그리고 매출액 = 제조원가 / 제조원가율이다. 제조원가율이 높을수록 제조원가가 낮을수록 매출액이 낮아진다.

 

따라서 D,E에서 D 제거, B,C에서 B제거 그리고 A 경우 C보다 원가율보다 낮고 원가도 높으니까 소거

 

그러면 C와 E만 비교해주면 된다.

 

E 20,000/10 과 C 55,000/30 = 18,xxx C가 더 낮다.

 

1-변동원가율 = 고정원가율 이걸 써먹을 수 있었으니, 그래도 관리회계 배운 덕은 있는가?

 

생각보다 빠르게 풀 수 있었던 문제

 

괄호 계산이 어렵지 않았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22~23번 풀이해설

 

정답 : 1번, 1번

 

22번

 

ㄱ. 괄호 안을 채워준다. 2020년이 국내 매출액 가장 높은데 총매출액은 매년 증가하는 반면 전년도대비 국외매출액은 줄어든다. 당연히 비중도 줄어든다.

 

ㄴ. 18년 대비 20년 탄약 증가율이 3% 밑에다. 처음에 5% 아래로 대략 잡았다가 화생방 덕에 3%로 잡았다. 화력은 어렴풋이 5%이다. 당연히 탄약보다 크다. 나머지는 말할 것도 없이 크고, 화생방이 탄약이랑 증가율 차이가 비슷해보인다.

어쩔 수 없다. 탄약은 알고보니 600만 증가했다. 3%가 채 안된다. 화생방은 23만 증가했다. 3%가 넘는다. 탄약 증가율이 더 낮다.

 

ㄷ. 중소기업은 대략 1/6이다. 약 0.16이다.(이정도는 암기 해놓는다. 어차피 1/3 = 0.33 의 /2이다.) 대기업은 근삿값으로 분모 28000 잡아주어도 60%가 채 안된다. 반면에 중소기업은 15%로 잡아도 4배면 60%이다. 4배 미만이다.

 

ㄹ. 국내 매출액이 119,xxx이다. 전체 매출액 153,xxx - 49,000(항공유도)을 빼준다 그러면 104,xxx가 나온다. 국내 매출액 - 항공유도를 뺀 전체 매출액은 15,000이다. 즉, 항공유도의 국내 매출액은 적어도 15,000원 이상이란 뜻이다.

 

23번

 

1문단 생략, 종사자 수 비교에서 항공유도가 나왔다, 이렇게 E,B 소거 녹색에서 통신이 D라는 걸 알았다, D 소거. 하늘색으로 증가율을 A, C 구해준다. 다행히 500씩 증가했다. 그러면 당연히 C의 증가율이 더 높다. 함정은 C 항공유도는 A이다.

 

ㄹ. 크로스체킹으로 가능

체감 난이도

22번 ㄹ은 경험이 필요한 듯하다. 23번은 빠르게 정보 취사 능력이 필요한 면에서 경험, 많이 풀어본 사람은 빠르게 풀 수 있지 않았을가 싶다.

 

경제학 공식 나와서 반가웠는데

 

역시 경제학이랑 관계없었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24번 풀이해설

정답 : 4번

 

역시 식을 활용해보자.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1인당 GDP 식을 나누어주면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 1인당 GDP = 이산화탄소 총배출량 / GDP

 

이산화탄소 총배출량 =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 GDP / 1인당 GDP가 된다.

 

대소 비교이기 때문에, B와 C의 경우 분모는 30% 밑으로 차이가 나 보인다. 그런데 분자가 36조와 12조 200% 차이가 난다. 즉 B > C 매출액 작은 순이니 , CB 이 식을 토대로 5번이 소거된다.

 

C와 D를 비교하여 보니 D가 분모는 작은데 분자는 더 크다. 즉, 매출액 D > C가 된다. 즉 D가 C보다 뒤에 있어야 하니 1,2번 소거

 

다음 A가 B보다 큰가를 봐야겠다.

 

B가 A보다 분모는 작은데 분자도 작다. 숫자로 비교해야 할 듯하다.

B는 36/39 A는 320/60 A가 더 크다. 즉 A가 B보다 뒤에 있어야 한다. 

 

그럼 조합이 자연스레 4번, 굳이 숫자를 다 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체감 난이도

곱셈 식만 잘 활용하면 보인다.

 

시간 잡아 먹는 문제

 

결국 괄호 하나 비우고 구하긴 했는데

 

괄호 하나 비워도 시간 엄청 잡아 먹힌듯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25번 풀이해설

정답 : 2번

 

ㄱ. 20년 대비 21년의 분모는 50% 증가했다. 분자는 50% 넘게 증가했다. 19년 대비 20년은 분자가 100% 증가하고 분모는 100%가 채 안되게 증가했으니 더 쉽다.

 

ㄴ. 20년 공공시설은 일일이 빼줘서 구하면 대략 3600이 나온다 그리고 21년도 3900니 나오는데, 쇼핑몰 + 주차전용시설이 3900을 70넘게 아득히 넘는다.

 

ㄷ. 2021년 주유소는 일일이 구해준다. 다행히 19년대비 10배 차이난다. 19년 휴게소는 500 10배는 어림도 없다. 그나마 대권주자 공동주택이 20 아래이지 않을까 했는데, 다행히 70 택도 없다.

 

ㄹ.다행히 ㄷ에서 구한 휴게소 500이 문화시설보다 적다.

체감 난이도

산수를 일일이 구하는 귀찮은 문제 근데 딱히 방법이 없다. 시간 먹힐 수 밖에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