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SAT-자료해석

2022 7급 PSAT 자료해석 16~20 문제풀이

by 꽁치가천원 2022. 11. 25.
728x90

보고서 먼저 읽어가며 하나씩 체크했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16번 풀이해설

정답 : 2번

 

우선 10%p가 차이 난다고 하니 마는 소거된다. %p는 단순한 산술차이로 생각하면 됨.

 

녹색 부분을 보면 무응답자가 투표를 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A,B에 투표하는 사람 비율이 높아져야 한다. 다는 오히려 줄었다.

 

하늘색을 보면 라는 오히려 A가 감소하였다.

 

분홍색 역시 3%p 쉽게 소거 가능하다.

 

%p를 알고 있다면 빠르게 크로스체킹으로 풀 수 있는 문제

 

보기를 먼저 본 후 천천히 소거하는 방식으로 했다.

 

곱셈 방식은 역수로 소거소거해서 눈대중으로 풀기도 했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17번 풀이해설

정답 : 2번

 

ㄱ. 1) 식 양변에 업종별 업체 수를 곱해준다. 그러면 스마트시스템 도입 업체수 = 업종별 업체 수 * 도입률 이 나온다.

 

그 다음 비교해봐야할 건 도입률이 자동차부품보다 높은 건 없고 엇비슷한게 항공기부품으로 보인다. 그런데 항공기부품의 업체 수를 보면 대략 8:1 정도로 나와보이는 큰 차이이다. 계산 필요없이 항공기 부품은 제친다.

 

그리고 비교하여야 할게 자동차 부품보다 업체 수가 많은 업종이다. 이중에 기계장비가 도입률이 제일 높고 업체 수도 제일 많으니 기계장치랑 비교하면 끝이난다. 따라서 자동차부품 766*35.1과 1428*15.6을 비교해본다. 

766*35.1에서 766 *2 하고 35.1 / 2 를 해본다. 그러면 1552*17.5가 나오고 이 모든 게 1428*15.6보다 크다. 따라서 ㄱ 참

 

ㄴ. 도입률 * 고도화율을 곱하여 주면 업체수 대비 스마트시스템 고도화 업체 수가 나온다. 이중에서 항공기부품이랑 자동차부품이 우상향되어 있기 때문에 이 둘을 비교하여 준다. 그런데 항공기부품의 업체수는 적다. 따라서 항공기부품의 고도화율이 높게 나오는건 분모인 업체수가 적어서이기 때문에, 자동차부품이 아주 큰 차이로 업체수가 많은데 도입률*고도화율은 차이가 없어 보이니, 당연히 고도화업체수는 항공기부품이 적을 것이다.

 

ㄷ. 이하생략

 

ㄹ. 크로스체킹으로 가능

체감 난이도

시간이 다들 어느정도 걸리는지는 모르겠다. 나는 줄인다고 스킬 써가며 줄여봤는데 불안불안하다.

 

정지시거부터 눈을 이동해서 반응거리로

 

그리고 제동거리에서 빠르게 소거할 수 있는 눈썰미가 필요하다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18번 풀이해설

정답 : 5번

 

정지시거를 구하라고 하니 정지시거를 봤는데 반응거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반응거리를 초록색으로 구해보았다.

 

운행속력은 다행히 일정하다. 따라서 B는 A랑 그대로 같은 값, C는 80% D는 120%, E는 60%를 빠르게 곱해주었다.

 

다음 제동거리를 보니 20^2 = 2 * 마찰계수 * 10이다. 다행히 소거가 된다. 20/마찰계수이다. 그렇게 하늘색을 구해주었고 초록색이랑 똑같이 같은건 그대로 0.8은 0.4의 x2이니까 x2를 해주는게 아니라, 분모에 있어서 /2를 해주었다.

 

빠르게 계산하는 방식으로 ABCD 하나씩 소거해갔다. E만 맞는 정답이었다.

 

체감 난이도

빠르게 푸는 곱셈 스킬을 썼는데 다들 몇 초가 걸릴지 궁금하다.

 

이전이랑 푸는 방식을 똑같이 해서 풀었다.

 

보기부터 보고, 곱셈 식은 적절하게 역수라던지 활용해서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19번 풀이해설

정답 : 3번

 

ㄱ. 2019 어획량 = 2020 어획량 / 전년비 이다. 그런데 고등어의 2020 어획량이 되게 높다. 그러면 전년비만 살펴보면 되는데, 전년비는 낮은 축에 속한다. 고등어보다 낮은 광어는 2020년 어획량이 11:1정도로 낮다. 따라서 고등어가 2019년 어획량이 제일 많다.

 

ㄴ. 평년비 / 전년비 = 2019 어획량 / 평균 이렇게 나오는데 2019년 어획량이 평균보다 적으려면 2019어획량/평균 < 1이 성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평균비 / 전년비가 1보다 작아야 하고, 조기빼고는 다 작다. 조기는 2019년 어획량이 평균보다 높다.

 

ㄷ. 갈치의 평년비가 100을 넘는다. 즉, 어획량이 평균보다 높다는 뜻이다. 그래서 내년에도 어획량이 유지된다면 평균보다 높다.

체감 난이도

계산 시간에도 그렇게 소모되지 않은 문제라 난이도가 낮은 편이지 않을까 싶다.

운 좋게 풀기는 했는데, 문제를 꼼꼼이 읽고 풀었으면

 

더 쉽게 풀 수 있었던 문제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20번 풀이해설

정답 : 1번

 

ㄱ. 크로스체킹으로 풀면 되는데 5번 대한민국 괄호를 풀으라고 한다. 종합 기록이 대략 1분 50초, 나머지 기록들을 비교하여 보니 11~12분 정도 더 늦게 들어와야 5등의 종합기록이 나올 수 있다. 1시간을 아득히 넘으므로 ㄱ은 정답

 

ㄴ. 결국 9번의 괄호를 풀어라 하는 문제이다. 9시간이 나오는 건 기정사실이니, 분만 더해준다. 7분 3분 7분 대략 4분 26분 더해주니 약 48분이 나온다. 10번이랑 1분 미만 차이가 나오 8번이랑은 1분 초과 차이이다.

 

ㄷ. 다행히 쉽게 풀 수 있었다. 고마워요 일본... 최소 일본 덕에 상위 3명은 대한민국 아니다.

 

ㄹ. 중국 수영 기록이 1:02이인데 T1때문에 차이가 날만한 아이는 독일밖에 없는 듯하다. 수영 기록 차이가 비슷한게 독일뿐이라, 그래서 T1을 더해보니 순위가 달라지지 않는다. 

체감 난이도

글자가 워낙 많아 꼼꼼이 읽는 연습이 필요한듯하다. 7급이 쉽게쉽게 내주는데, 감사하게 받아 먹으려면 꼼꼼이 읽고 빠르게 푸는 길을 찾는 연습이 필요한듯 하다. 다행히 유치하게 내는 문제는 없는듯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