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정치학

동맹이론

by 꽁치가천원 2022. 10. 24.
728x90
글렌 스나이더(Glen Snyder)의 동맹 안보딜레마
  • 유형

1차적 딜레마 : 동맹 이전 딜레마

2차적 딜레마 : 동맹 이후 딜레마

  • 1차적 딜레마

- 죄수의 딜레마 강조

- 결국 모두 동맹하게 됨

 

  • 2차적 딜레마(방기와 연루)

- 연루란 동맹국을 지원함으로써 입게 되는 피해이다.

- 방기란 동맹국을 지원하지 않음으로써 미래에 입게될 수 있는 피해이다.

- 방기와 연루는 반비례 관계이다.

- 적에 대한 동맹국의 이익 공유 정도가 높으면 방기와 연루 위험 모두 감소한다.

- 동맹 상대국에 대해 강한 지원 의도를 가진 국가일수록 연기의 위험이 증가하고 방기의 위험이 감소한다.

- 적대국에 대해 강경한 입장일 수록 연루의 위험이 증가하고 방기와 협상력이 낮아진다.

- 반면에, 적대국에 유화적 태도일 수록 연루의 위험이 감소하고 방기의 위험이 증가한다.

- 다극 체제에서 자국의 군비증강(내적 균형)보다 동맹(외적 균형)을 선택하기 때문에 동맹을 중요시한다.

-> 이는 동맹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하고 연루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 양극체제

- 왜냐하면 양극 체제일 때 약소국의 위험은 패권 국가에 큰 위험이 되지 않아 방기의 위험은 있으나 연루의 위험은 낮다. 반면에, 다극 체제일 때, 동맹국의 위협이 자국에 영향이 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연루의 위험이 커지게 된다.

-  공격우위상황에서 빨리 전쟁을 종결하는 것이 유리하여 선제 공격하게 된다. 따라서 안보딜레마 수준을 높여 동맹의 중요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 방어우위

 

구분 공격 우위 방어 우위 왈츠(K. Waltz)
다극 체제 패거리 짓기(Chain-ganging)
-> WW1
책임전가(buck-passing)
-> WW2
국가체제 불안정
양극 체제 패거리 짓기와 책임전가 부재 패거리 짓기와 책임전가 부재 국가체제 안정
  • 패거리 짓기 : 다극체제 하에 공격우위 상황에서 동맹을 적극적으로 맺고 활용하는 행태이다. 

ex) WW1, 3국 동맹 + 3국 협상 -> 패거리 짓기로 대전쟁이 발발했다.

 

  • 책임전가 : 다극체제 하에 방어우위 상황에서 동맹을 통해 팽창하는 적대국에 대응하기 보단 타 국가가 그 적대국에 대응하길 기대하며 책임을 회피하는 행태이다.

ex) WW2 영토 팽창하여 가는 나치에 영국·프랑스는 동맹을 통해 견제하기 보다는 타 국가가 처리하길 회피하였다. -> 책임전가로 대전쟁 발발

 

패거리 짓기와 책임전가가 부재한 양극 체제
  • 동맹(외적균형)보다는 자국의 군비증강(내적균형)을 통해 세력 균형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패거리 짓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 동맹국들은 전쟁에 연루되긴 꺼려하나 강대국 없이 해결이 어려워 제한된 수준의 동맹지원을 하게 된다.
  • 따라서 책임전가 또한 발생하지 않게 된다.

ex) 1970년대 데탕트, NATO와 WTO 가입 등 -> 패거리 짓기 X, 책임전가X, 대전쟁 방지

 

균형·편승 동맹
  • 고대 중국사에서 합종균형 동맹(balancing)과 일치하며, 강대국에 맞서 약소국끼리 동맹을 맺는 것을 의미한다.
  • 연횡은 편승 동맹(bandwaganing)과 일치하며, 강대국에 편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티븐 왈트(S. Walt)는 강대국은 균형 동맹이, 약소국은 편승 동맹이 유리하다고 하였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