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정치학-문제풀이

외교정책 공공외교

by 꽁치가천원 2022. 12. 20.
728x90

공공외교란 외교 상대국의 정부가 아니라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자국의 임지 제고와 공감대 형성을 통한 신뢰구축, 더 나아가 관계발전을 추구하는 외교행위이다. 즉, 공공외교는 정부 대 정부의 관계를 넘어 타국의 국민들을 이해하고 정보를 제공하며, 그들을 포용하고 그들에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자국의 국익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공외교가 성공하기 위하여 양방향 소통을 통한 지속적인 교류가 수반되어야 한다.

 

공공외교 등장배경

 1. 민주주의의 진전

민주주의가 전세게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외교정책 결정 및 이행과정에서 국민적 의사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외교정책에 대한 자국 국민의 지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외국의 대중에 대한 전략적이고 체게적인 홍보도 필요해졌다.

 

 2. 정보통신 혁명

통신수단의 혁명적 발전에 따라 국경을 넘어 대중 간 소통 뿐만 아니라 정부와 외국 대중 간의 직접 소통이 용이해졌다. 온라인을 통하여 자국의 매력을 확산시키거나 자국의 입장이나 정책을 외국 국민에게 직접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3. 소프트파워의 부상

외교자산으로서 하드파워의 한계로 소프트파워가 부상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9·11 테러 이후 아프칸, 이라크 전쟁 수행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대한 위협은 약해지기보단 IS와 같은 테러 위협은 강력해졌다. 이것은 기존의 전통적 권력인 하드파워만으로는 대외관게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움을 의미한다. 소프트파워는 국가에 대한 호감도를 의미하므로 소프트파워가 강할수록 공격 가능성이 낮아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728x90

댓글